반응형
근로기준법 제1조 (목적) 이 법은 헌법에 따라 근로조건의 기준을 정함으로써 근로자의 기본적 생활을 보장, 향상시키며 균형 있는 국민경제의 발전을 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.
설명>
근로기준법의 의의 : 근로기준법은 법정근로조건의 위반에 대하여 처벌을 통해 근로관계에 있어서 근로자 및 약자(여성과 연소자) 보호및 근로조건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법이다.
참고>
헌법 제32조
③ 근로조건의 기준은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하도록 법률로 정한다.
④ 여자의 근로는 특별한 보호를 받으며, 고용·임금 및 근로조건에 있어서 부당한 차별을 받지 아니한다.
⑤ 연소자의 근로는 특별한 보호를 받는다.
이야기>
약자를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근로기준법, 이를 통해 '을'이 자신의 권리를 바로 알고 찾을 수 있는 사회가 되는데 이 블로그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.
반응형
'근로기준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근로기준법 제6조 균등한 처우 - 근로자 차별대우 금지 (0) | 2018.02.23 |
---|---|
근로기준법 제5조 근로조건의 준수 - 사용자의 의무, 근로자의 의무 (0) | 2018.02.13 |
근로기준법 제4조 근로조건의 결정 - 근로계약의 자유 (0) | 2018.02.12 |
근로기준법 제3조 근로조건의 기준 - 근로조건의 최저기준이 되는 근로기준법 (0) | 2018.02.11 |
근로기준법 제2조 근로기준법 용어의 정의 - 근로자, 사용자, 근로, 근로계약, 임금, 평균임금 (0) | 2018.02.10 |
댓글